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램

(10)
모델링 관련 백업을 해야한다....
리눅스 정리 - RPM & DNF * RPMredhat 사에서 제공하는 리눅스용 프로그램을 배포하는 기술이다.프로그램의 설치, 검증, 삭제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패키지 구조패키지명‐버전‐릴리즈.아키텍처.rpm  * 조회#rpm -qa : 시스템에 설치된 모든 패키지명-qi [패키지명] : 해당 패키지의 상세 정보-ql [패키지명] : 패키지의 파일 리스트- qf [파일명] : 지정한 파일이 포함된 패키지 * 설치 # rpm-i : 설치-U : 업그레이드(이전버전 미 설치했을 경우, i와 동일하게 작동)-F : 업그레이드만-v : 설치과정을 출력-h : 설치정도를 출력 (# 기호로 표기된다.) 주 사용: -ivh | -Uvh | -Fvh  *삭제#rpm - e [패키지명]  *주요 추가 옵션 --noeps : 의존성을 무시하고 ..
Cisco Packet Tracer 백업 기본 설정 명령어(S/R 공용) enable conf t no ip domain-lookup hostname end (do) copy ru st 설정 삭제erase st 이후 유동적으로 설정해야함 라우터 재시작 이후 enable 입력 전에는 라우팅 장비 돌아가지 않음   20250127-1  이미지 상 기입된 ping이 유실된 이유는 VLAN이 다르기 때문이다. (별도 설정 X)  20250127-2  20250127-3  20250131-1라우터에 가상인터페이스를 설치한다. 트렁크 사용을 위함이다. (라우터에는 1개의 인터페이스에 1개의 IP만 할당가능하므로, 본래는 0127-3 처럼 2개의 랜을 필요로 한다. 가상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1개의 트렁크만으로도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20250131-..
리눅스 정리 - 네트워크 설정 * NIC 지원- Network Interface Card- 유닉스 시스템들은 시스템 별로 NIC를 지칭하는 디바이스 파일명이 고유하다(=즉, 상이하다.)- 리눅스의 경우 ens 32, ens34(eth0, eth1) ... 등의 이름으로 명명된다. 내 리눅스는 ens160을 지니고 있다. * 디바이스 파일 경로/lib/modules/(무언가 상이함)/kernel/drivers/net/ethernet해당 경로에 리눅스에서 지원하는 모든 네트워크 디바이스 파일이 존재한다. * 설정 확인# ifconfig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를 확인하거나 설정을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단, 변경 내용은 영구적이지 않다.# ifconfig [NIC명]# ifconfig [NIC명]  [IP]  netmask [mask명] [..
리눅스 정리 - 파일 시스템과 파티션 * 파일 시스템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운영체제의 논리적 구조를 말한다.각 OS들은 여러개의 파일 시스템을 지원한다.- Linux: xfs, ext4, ext3, jfs...- Windows : FAT, FAT32, NTFS ...- UNIX: UFS(UNIX File System), ZFS- IOS: APFS(Apple File Syster),  HFS+ * 파티션물리적인 디스크를 논리적인 저장영역으로 구별한 것을 말한다. *MBR디스크의 앞쪽이 물리적으로 저장된 공간을 말한다. OS가 직접 사용하지 않으며, 부트로더가 이 공간에 저장된다.  * 파티션의 종류- Primary Partition : 물리적인 디스크에 독립적으로 존재해 파일 시스템을 생성한다. 운영체제가 직접 사용가능하며, 최대 4개까지 생성..
리눅스 정리 - 파일구조와 퍼미션 * 리눅스 파일의 구조  drwxr‐x‐‐‐       2              root           root        4096     Dec 18  12:31        aa   퍼미션  하드링크 수   소유자  그룹 소유자  크기   마지막 변경 일자   파일명 *파일의 종류- :일반 파일d : 디렉토리l : 링크 파일b : 블록 디바이스 파일c : 문자 디바이스 파일 퍼미션란의 맨 앞글자는 위 다섯 종류로 이루어져있으며, 이를 살핌으로서 파일의 종류를 알 수 있다.  * 퍼미션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대한 사용자의 허가정도를 나타낸다.사용자는 소유자(user), 그룹소유자(group), 이외 모든 사용자(other)로 구별한다. 구분파일디렉토리r읽기파일 목록 보기w쓰기(수정)파일 생성(삭제)..
리눅스 정리 - 사용자 관리 리눅스 운영체제에서의 사용자 등록정보 저장경로는 아래와 같다. /etc/passwd-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알고자 할때에는 shadow password를 사용한다.- useradd 명령을 이용하면 해당 루트 안에 등록이 된다.- 사용자의 직접 수정이 가능하다. # cat /etc/passwd해당 명령어를 입력하면 등록정보가 출력된다. 등록정보의 형식은 다음과 같다.   root  :     x   :   0   :    0    : root :       /root      :  /bin/bash계정명: 암호 : UID : GID : 주석 : 홈디렉토리 :      쉘 예시는 root 계정의 등록정보이다.   /etc/shadow- 사용자의 패스워드와 암호정책 정보가 기입되어있다. # cat /etc/sh..
Linux Vi에디터 vi 에디터란 무엇인가?: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파일 편집기를 말한다.  * vi 에디터 실행 방법 # vi [파일명]파일명 입력을 반드시 해야한다!!!!!  #vi 만 입력한 경우, vi에디터 자체의 시작 화면이 뜬다. 여기서 :o [파일명] 으로 파일을 열 수 있으나 #vi [파일명]이 커맨드 입력 횟수를 단축시킬 수 있다.  * vi의 모드- 명령 모드 : 입력 이외의 편집 작업이 가능하다.- 입력 모드 : 데이터의 입력 및 수정이 가능하다.- 실행 모드 : 파일의 저장 및 종료가 가능하다. *모드 변경[명령모드에서 입력모드로 이동]i : 커서 위치부터 입력a : 커서 다음 칸에 입력o: 커서 아래 새로운 라인을 삽입하고 입력I : 커서가 위치한 라인 맨 앞에 입력A : 커서가 위치한 라인 맨 뒤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