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론

네트워크 모델과 Topology

*TCP/IP Model(1973년 발표)

- Apllication

- Transport(TCP)

- Network(IP)

- Link(Pysical)

 

*OSI 7 Layer Model(1983년 발표)

- Apllication

- Presentation

- Session // Application부터 Session까지를 한 단계(Apllication)로 묶어 5 레이어 모델로 부르기도 함

- Transport(TCP)

- Network(IP)

- Data Link

- Pysical

 

* Pysical Layer: 전기적 신호를 담당. Data 단위를 처리하지 않는다.

* Data Link: Frame 형태로 Data를 전송한다. S/W와 H/W를 혼용한다.

*Network(IP): 시스템을 논리적으로 구별한다. 여기서 논리적이란 것은 시스템을 소속까지 구별한다는 것으로, 프로토콜의 라우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느 ㄴ것이다.

// Pysical Layer부터 Network Layer까지를 Network Core라고 부른다. 이들의 목적은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Transport(TCP): 상위 프로토콜을 구별하며, 패킷의 순서 및 손상 등을 관리한다.

*Application: 응용프로그램(UI, socket 프로그래밍, OS 응용 프로그램 등이 속해있다.)

//TCP Layer와 Application Layer는 Network Edge를 담당한다. 이들의 목적은 전달된 데이터를 관리, 생성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 Nerwork Topology: 데이터의 전송방식을 추상화한 것을 말한다.

- Bus 유형: 기술적 장벽이 없고, 단순하게 구성되어 있어 가성비가 좋다. 가장 많이 통용되는 유형으로 LAN망의 99%를 차지한다.

- Star 유형: 하나의 노드에서 여러 노드로 뻗어나가는 형태이다. 각 노드까지 향하는 경로는 단일하다.

 

- Ring 유형: 네트워크간 충돌이 없으며, 같은 스펙의 BUS형 보다 성능이 좋다. 중간에 끊어져고 금방 복구가 가능해 지속적 통신이 가능하다. 네트워크 에러가 장비 에러로 직결되지 않으므로, 자주 사용되는 분야는 장비 안정성이 필요한 필드이다.

 

*Topology 유형의 특성 차이

1) 네트워크와 장비간, 오류 영향의 여부가 다르다.

2) 오류(장애) 노드의 관리비용에 차이가 있다.

3) 구현 회선의 길이가 다르다.

- 다만 해당 유형들의 차이는 그리 유의미하지 않다. 최근 Eternet은 Bus형을 기본으로 두나, Star형과 비슷해지고 있다.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P 데이터 전송 - rdt  (0) 2025.01.15
Transport Layer의 TCP/UDP  (0) 2025.01.13
IP(Network Layer)  (0) 2025.01.07
Ethernet과 그의 확장  (0) 2025.01.07
인터넷과 네트워크  (0) 2025.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