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설정 명령어(S/R 공용)
enable
conf t
no ip domain-lookup
hostname
end
(do) copy ru st
설정 삭제
erase st
이후 유동적으로 설정해야함
라우터 재시작 이후 enable 입력 전에는 라우팅 장비 돌아가지 않음
20250127-1
이미지 상 기입된 ping이 유실된 이유는 VLAN이 다르기 때문이다. (별도 설정 X)
20250127-2
20250127-3
20250131-1
라우터에 가상인터페이스를 설치한다. 트렁크 사용을 위함이다. (라우터에는 1개의 인터페이스에 1개의 IP만 할당가능하므로, 본래는 0127-3 처럼 2개의 랜을 필요로 한다. 가상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1개의 트렁크만으로도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20250131-2
응용 실습
스위치 간 트렁크는 1개만 설정되어도 통신은 가능하나...
양쪽 다 설정하도록 하자.
20250203
라우터 사용법
라우터 지정경로를 지정한다.
좌측은 IP Add 정보(IP HOP)를 지정한 것이고, 우측은 Interface 정보를 지정한 것이다.
이를 위해 HWIC-2T 모듈을 설치했다(S0/0/0~1 포트 형성을 위해)
20250203-2
route 실습
ping 정상 작동
연결한 랜포트와 목적지 등을 사전에 엄밀히 설계 후 진행해야한다.
메모를 잘 해두자! 라우터가 다수일 경우 헷갈려진다!
20250204
디폴트 라우팅...
모든 네트워크의 정보를 하나하나 적는것은 번거롭다!!! 고로 ip 주소의 라우팅 정보를 입력해야한다.
20250205
20250205-2
20250205-3
이러면 1.1.1.11-3.3.3.11은 통신이 되고,
다른 IP로 ping을 날리면 답은 돌아오지 않으나 보내지기는 한다(=R2를 통해 loopback로 나감)
loopback는 가상 인터페이스이므로 no sh를 하지 않았으나,
실제 환경에선 설정해야한다.
20250205-4
20250206
20250207
20250210
'프로그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델링 (0) | 2025.04.17 |
---|---|
리눅스 정리 - RPM & DNF (0) | 2025.02.03 |
리눅스 정리 - 네트워크 설정 (0) | 2025.01.22 |
리눅스 정리 - 파일 시스템과 파티션 (0) | 2025.01.21 |
리눅스 정리 - 파일구조와 퍼미션 (0) | 2025.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