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리눅스 정리 - 파일구조와 퍼미션

secudb123 2025. 1. 14. 16:47

* 리눅스 파일의 구조

  drwxr‐x‐‐‐       2              root           root        4096     Dec 18  12:31        aa

   퍼미션  하드링크 수   소유자  그룹 소유자  크기   마지막 변경 일자   파일명

 

*파일의 종류

- :일반 파일

d : 디렉토리

l : 링크 파일

b : 블록 디바이스 파일

c : 문자 디바이스 파일

 

퍼미션란의 맨 앞글자는 위 다섯 종류로 이루어져있으며, 이를 살핌으로서 파일의 종류를 알 수 있다.

 

 

* 퍼미션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대한 사용자의 허가정도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소유자(user), 그룹소유자(group), 이외 모든 사용자(other)로 구별한다.

 

구분 파일 디렉토리
r 읽기 파일 목록 보기
w 쓰기(수정) 파일 생성(삭제)
x 실행 들어가기

 

첫번째 rwx는 user(u), 두번째 rwx는 group(g), 세번째 rwx는 other(o)를 의미한다.

즉,

rwxr-x---

이란 퍼미션은 소유자에겐 모든 권한을, 소유자 그룹에겐 읽고 실행할 권한을 부여했으며 이외 모든 사용자는 모든 권한이 없다는 뜻이다.

 

퍼미션은 8진수로도 표현할 수 있다. 이는 8진수의 각 문자의 합으로 표현된다.

 

r : 4  : 100

w : 2 : 010

x : 1 : 001

 

 

 

* 퍼미션 제어 명령어

 

# chmod

퍼미션 수정 명령어.

-R : 디렉토리인 경우, 하위 디렉토리와 파일까지 일괄 수정하는 것.

 

대상에 오퍼레이터를 추가함으로서 퍼미션을 부여할 수 있다.

 

# chmod o+x, g-x File.txt

File.txt에 이외 전부 x권한을 추가, 그룹에게 x 권한을 제거한다.

 

옵션에 o=x라는 것은, 이전까지의 상태와 무관하게 이외 유저에게 x 권한만 설정한다는 뜻이다.

 

 

* 소유자 및 그룹 소유자의 변경

 

#chown -R 유저명 대상파일

소유자 변경.

 

#chgrp -R 그룹명 대상파일

그룹 소유자 변경

 

#chown -R 유저명.그룹명 대상파일

소유자 및 그룹 소유자를 동시에 변경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