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VMware로 Linux 설치하기

secudb123 2025. 1. 5. 23:06

사전 준비

- VMware workstation 다운로드

VMWare는 가상머신을 설치해 복수의 운영체제를 한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VMware는 아래 링크된 Broadcom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https://www.broadcom.com/

 

Broadcom Inc. | Connecting Everything

Broadcom Inc. is a global technology leader that designs, develops and supplies a broad range of semiconductor, enterprise software and security solutions.

www.broadcom.com

 

우측 상단의 Support Portal에 가입하고 다운로드 하면 된다. 2025년 1월 5일 시점 우리가 사용할 버전은 VMware-workstation.17.6.2이다.

VMware workstation은 2024년 11월 11일부터 무료로 전환되어 배포되고 있다.

 

다운로드 이후 설치를 진행한다.

시간이 어느정도 걸리니 여유있게 기다리는 것이 좋다.

 

시작에 앞서, VMware 설치 직후 진행 중 변경사항을 알아보기 위해 명령프롬프트에 ipconfig를 입력했다.

VMware가 설치됨에 따라 네트워크가 기본보다 2개가 더 추가되었다.

 

 

이제부터 아래 과정을 따라 가상머신에 Linux를 설치하자.


 

1. VM 환경 확인

1-1. VMware 실행

다운로드가 종료되었다면 VMware를 실행하면 된다.

최우선으로 시행해야하는 것은 VM의 환경을 확인하는 것이다. 그를 위해 우리는 관리자 권한으로 VMware를 실행할 것이다.

관리자 권한으로 VMware를 실행한다.

 

관리자 권한을 필요로 하는 것은 VMware를 사용하며 다룰 수 있는 기능의 확장을 위해서이다. 관리자 권한으로 가상머신을 생성하고, 이런 저런 작업을 진행하다보면 차후 일반 권한으로 실행했을 경우 권한이 제한 될 수 있다. 그러니 언제나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는 것을 습관화하는 것이 추천된다.

 

디바이스 변경 허용 요청을 승인하면 Vmware가 실행된다.

VMware workstation의 인터페이스 화면

이제 VMware의 가상머신이 저장될 경로를 지정해야한다.

 

1-2. VMware 저장 경로 지정

저장경로의 지정은 상단바의 [Edit]-[Preferences]에서 가능하다.

[Edit]-[Preferences]

 

그러면 Preferences 창이 뜬다.

바로 뜬 Workspace 항목의 Default location for virtual machines에 경로지정을 하면 된다.

나의 경우 C드라이브 바로 아래에 VM이란 디렉토리를 형성해 그 곳을 저장공간으로 지정하였다.

Preferences 창에서 Default Location을 지정했다.

 

이 과정이 필요한 이유는 가상머신은 파일을 복사&붙여넣기 함으로서 쉽게 백업 및 편한 재설치 가능한 탓이다.

파일의 저장경로를 수월히 기억하기 위해, 나는 C: 바로 아래에 VM이라는 디렉토리를 생성하였으나, 디렉토리 명 및 그것의 위치는 개인의 성향에 맞춰 원하는대로 생성해도 좋다.

 

 

1-3. VM 네트워크 지정

이어 사용할 네트워크 환경을 지정한다.

해당 지정은 [Edit]-[Virtual Network Editor]에서 진행할 수 있다.

 

[Edit]-[Virtual Network Editor]

 

그러면 아래와 같은 창이 작성된다.

 

[Virtual Network Editor]

 

이미지를 확인하면, 우리는 3가지 타입의 네트워크를 발견할 수 있다.

Bridged 타입의 VMnet0, Host-only 타입의 VMnet1, NAT 타입의 VMnet8.

그중 VMnet0은 추가 세팅이 필요하지 않으며, 남은 두 타입은 약간 다른 세팅을 진행한다.

 

이제 VMware1과 VMware8, 그리고 호스트 컴퓨터의 네트워크 영역을 통일시켜보자.

 

1-3-1. Subnet  Address 변경

우선적으로 Subnet Address를 변경한다. 팝업의 하단 Subnet IP란을 조정하면 된다. 이후 활성화 될 Apply 버튼을 눌러준다.

VMnet1과 VMnet8의 주소를 변경한다.

 

*변경할 주소

VMnet1: 192.168.253.0 -> 192.168.200.0

VMnet8: 192.168.153.0 -> 192.168.11.0

 

 

 

 

1-3-2.VMnet1의  [DHCP Settings...] 

두 네트워크의 Subnet IP 조정 이후엔 다시 VMnet1로 돌아온다. 이어 [DHCP Settings...] 을 눌러, 해당 세팅을 진행한다.

 

 

 

 Starting IP address과 Ending IP address를 아래 이미지와 같이 조정한다.

 

 

해당 작업 이후에도 Apply 버튼을 누른다.

 

1-3-3.VMnet8의  [DHCP Settings...] 과 [NAT Settings...]

DHCP Setting의 경우 VMnet1과 동일한 과정을 거친다.

아래와 같이 세팅하고, 다시 Apply를 해야한다.

 

이어 NAT Setting까지 진행한다.

 

[NAT Settings...]

 

팝업이 떠오르면, Gateway IP를 아래와 같이 변경한다.

 

 

이것으로 VM 환경의 설정 및 확인이 종료된다.

 

이어 명령프롬프트에 ipconfig를 입력하면 현재 IP 주소가 적절히 변경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아래 이미지는 VM 환경 설정 종료 이후 ipconfig를 통해 확인한 IP 주소이다. 위 과정에서 입력한 대로 변경 되었다.

 


2. OS 환경 확인

이제 운영체제 내에서 VMnet1/VMnet8의 IPv4 정보를 수정해야한다.

끝 IP를 3으로 변경하면 되는데, 아래 과정을 따르면 된다.

 

 [네트워크] 아이콘 우클릭하여 [속성] 접속-[어댑터 설정 변경] 

 

이어 떠오른 [네트워크 연결] 창에서 조정하려는 네트워크를 우클릭, [속성]을 누른다.

 

그럼 아래와 같은 창이 뜰 것이다. 해당 창에서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를 클릭하고, 하단의 [속성]을 클릭한다.

 

속성 창에서 IP주소를 아래와 같이 변경한다.

자동으로 IP를 받지 않는다.

 

 

VMware8 역시 동일하게 진행한다.

 

다시 한 번 ipconfig를 통해 IP 주소를 확인하면 설정한대로 변경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로서 OS 환경 설정까지 끝마치게 된다.


3. 가상머신 생성

이제 본격적으로 가상머신을 생성한다. 다시 VMware workstation으로 돌아가자. (관리자 권한 필수)

이어 메인 화면에서 [Creat a New Virtual Machine]을 클릭한다.

 

그러면 New Virtual Machine Wizard가 시작되는데, 아래 이미지와 같이 설정하면 된다.

 

Typical 선택.


나중에 os 설치 선택.
Linux 선택 후 원하는 버전을 선택.

현재 내게는 Rocky Linux의 iso 파일이 존재하므로 Rocky Linux를 선택하였으나, 다른 버전을 지니고 있다면 이때 다른 버전을 고르면 된다.

또한 Window 혹은 Unix를 설치할때도 마찬가지로 상단에서 os를 선택하면 된

이미지를 살피면 VM환경 확인 단계에서 설정했듯, 저장 경로가 C: 아래의 VM 디렉토리 내부로 지정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디스크 사이즈는 이 단계에서 원하는대로 지정하면 된다. Rocky의 권장 크기는 20GB이나, 나는 40GB로 지정하였다. 

이어 아래 설정은 건들이지 않는다. (multiple files로 Split 되는 것을 유지)

 

마지막 화면이 떠오르면 세부사항을 확인 후 Finish를 눌러주면 된다.

이로서 가상머신의 설치는 완료 되었다. 아래 이미지를 보면, 화면 내 Rocky Linux 가상머신이 생성되어있다.

 

Devices를 확인하면, 여러 디바이스들이 형성되어있다.

Hard Disk의 용량은 기입한대로 40GB이다.

디바이스 중 USB Controller 와 Sound Card는 내게 필요치 않으므로, 이는 삭제하겠다.  (필요한 기능이라면 삭제할 필요 없다.)

삭제를 위해선 Edit virtual machine settings를 누른다. (Devices의 하위 항목을 클릭해도 괜찮다.)

 

떠오른 Virtual machine settings 창에서 삭제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를 누르고 아래 remove를 누르면 삭제가 된다.

 

Devices 란에서 두 항목이 사라졌음이 확인 가능하다.

 

이제 마지막 단계로, CD/DVD (IDE) 디바이스에 iso 파일을 인식시켜야한다.

다시 한번 Virtual machine settings 창으로 돌아가, CD/DVD (IDE)를 클릭한다. 이어 Use iso image file을 체크 후, 지니고 있는 iso 파일을 등록한다. 

 

 

이것으로 가상머신의 설치 및 세팅이 완료된다. 다음 단계로 넘어가, 리눅스의 설치를 진행한다.

 

 

 


4. Linux 설치

본격적인 설치를 위해 가상머신을 가동한다. 상단바의 초록색 재생버튼을 누르거나, 창 안의 Power on this virtual machine을 누르면 된다.

 

그러면 화면이 까매지고, 경고 팝업이 뜬다. OK를 눌러주면 된다.

 

vmware 로딩창이 뜨고, 이어 리눅스 설치 화면이 뜬다. 창 안으로 들어가 화살표 키보드를 이용해 위의 항목 [Install Rocky Linux 8.10]을 선택한다. 글자가 흰색이 되면 제대로 선택한 것이다.

 

 

그러면 아래 화면처럼 설치가 시작된다.

 

설치가 완료된 이후에는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뜬다. 이곳에서 Rocky Linux의 설정을 진행하면 된다.

언어 설정 창. 스크롤을 내리거나 검색을 해 한국어로 설정한다.

 

 

현지화 란에서는 [시간과 날짜]만 아시아 대륙/서울로 변경하면 된다. [시간과 날짜]를 클릭하면 세계지도가 뜨고, 지도에서 대한민국을 찾아서 클릭하면 아시아 대륙/서울로 변경된다.

 

소프트웨어 란에서는 수정할 것이 없다.

 

시스템 란의 경우는 설치 목적지를 수정하고,  KDUMP를 비활성화 한 후 네트워크와 호스트이름 란에 가서 네트워크를 연결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설정에서 root 비밀번호와 사용자 생성을 진행한다.

 

4-1. 설치 목적지의 수정

[설치 목적지] 창으로 들어가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 저장소 구성을 사용자 정의로 체크한 뒤, 완료를 누른다.

 

그러면 수동 파티션 설정 창으로 넘어가진다. 붉은 박스 쳐진 자동 생성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자동으로 파티션이 생성된다. 사항을 확인하고 완료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변경 사항을 요약해주는 창이 뜰텐데, 변경 적용을 누르면 된다.

 

4-2. KDUMP 비활성화

메인 화면으로 돌아가 [KDUMP]를 클릭, 이어진 창에서 kdump 활성화 체크박스를 아래와 같이 해제한 후 완료를 누른다.

 

 

4-3. 네트워크와 호스트 이름 지정 및 연결

 

메인화면에서 [네트워크와 호스트 이름]으로 들어간다. 하단의 호스트 이름에 원하는 이름을 지정하고, 적용버튼을 누른다.

 

 

그 다음으로 상단의 스위치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네트워크가 연결되며, 우측 하단의 호스트 이름도 업데이트 됨을 볼 수 있다.

 

완료를 누르고 나가면 된다.

 

4-4. 보안정책 비활성화

[보안 정책]에 들어가 아래와 같이 보안 정책 적용 스위치를 끔으로 변경한다.

 

 

4-5. root 비밀번호 생성

Linux에서 root 란 시스템을 관리하는 계정의 이름이라 보면 된다. Window에서의 Administrators와 비슷하다.

비밀번호는 자신의 취향에 맞춰 생성한다.

 

4-6. 사용자 이름 생성

마지막으로 사용자 이름을 생성한다. 윈도우에서의 계정과 동일하다.

사용자명을 지정하고, 계정 비밀번호를 자유롭게 입력하면 된다.

 

이것으로 Rocky Linux 설정이 완료 되었다. 이제 메인화면으로 돌아가 설치 시작 버튼을 눌러주면 설정에 따라 리눅스 os가 설치되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Rocky Linux가 설치되는 화면

 

 


 

5. Linux 설치 완료

설치에는 시간이 어느정도 소모된다.

설치완료 된 이후에는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며, 재부팅을 진행한다.

 

재부팅 후에는 라이센스 동의 여부를 묻는 창이 뜬다. [라이센스 정보(L)]로 들어가 약관에 동의한다.

 

메인 화면으로 돌아가 [설정 완료]를 누르면 모든 과정이 끝이나고, 리눅스 초기 로딩 화면이 뜨게 된다.

 

로그인 시에는 키보드 설정 및 언어 설정 등을 확인하는 창이 지나간다. 편하게 기입하면 된다.

root계정으로 로그인 원할 경우엔 [목록에 없습니까?]를 클릭해 사용자 명 root를 입력, 이후 위에서 정한 root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이것으로 가상머신 리눅스 설치의 모든 단계가 종료 되었다. 이후에는 원하는 모든 활동이 가능하다.

 


 

가상머신의 종료는 상단바의 재생 버튼이 있던 장소를 눌러 Shut Down 옵션을 누르거나, Ctrl+E를 누르면 된다.

 

해당 방식을 응용하면 Rocky Linux 이외 많은 버전의 OS를 설치할 수 있다.

설치한 가상머신의 백업은 VM 환경 확인 단계에서 지정한 저장 경로 디렉토리로 이동해, 해당 디렉토리 내부에 위치한 가상머신 파일이 들어간 폴더를 복사해 원하는 장소에 백업하면 된다.

 

또한, 불러오기 기능으로 VMware에서 백업해둔 가상머신을 불러올 수 있다. 이때는 디렉토리 내부의 vmx 파일을 오픈하면 된다. 백업 파일을 외장하드 등에 저장해두면, 여러 대의 컴퓨터에서 동일하게 설정된 가상머신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같은 컴퓨터에 동일 가상머신을 추가하고 싶다면 Clone 기능을 사용하면 된다.